[AX 인사이트] Product/Tech 조직의 AI 모멘텀 만들기

AI First 조직으로의 변화를 만드는 AX 인사이트 시리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roduct/Tech 조직의 AX를 위한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Agent Pro's avatar
May 02, 2025
[AX 인사이트] Product/Tech 조직의 AI 모멘텀 만들기
💡
AI First 조직으로의 변화를 만드는 AX 인사이트 시리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Product/Tech 조직의 AX를 위한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Product/Tech 조직을 위한 AI Momentum

아래 글에서 소개한 전사적 변화를 위한 가이드에 이어, Product/Tech 조직에 대한 가이드를 보다 상세히다뤄보고자 한다.
 
Tech 조직은 가장 중요하면서도 다이나믹한 액션아이템이 필요한 조직이다. 이유는,
  • 중요도 . SW Product가 핵심 상품인 기업은, Tech 조직의 생산성이 곧 기업의 경쟁력이다. . 가장 인건비가 높은 조직이기 때문에 투자도 활발하고 효율화가 빠르게 적용되는 점도 있겠다. . AI 활용에 따른 생산성 차이가 Dramatic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 변화를 가장 빠르게 체감할 수 있겠다.
  • 기대수준 . 기본적으로 AI 도구에 대한 이해도, 활용도가 가장 높은 조직이다. . 실제로 Tech 조직이 활용가능한 Cursor와 같은 도구는 실제 업무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반면, 다른 조직은 LLM 활용외 실제 단위 업무나 사람을 대체할만한 수준은 아직 안된다. . 그렇기 때문에 활용 수준에 대한 기대치와 액션아이템을 분리해서 고민해야한다.
 

🦉Tech 직군을 위한 듀오링고의 사례

지난번 글에서 듀오링고 CEO의 AI-First Initiative에 대한 메세지를 소개했다. 관련하여 듀오링고 CTO가 링크드인에 공유한 follow-up메세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Tech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1. 변화할 것 2. 변하지 않을 것 3. 요청할 것 4. 도와줄 것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정리하여 전달한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
  • AI 도구와 모델, 보안 등과 관련해 보다 세부적인 지침이 있을 것임을 알려준다.
  • 기술적인 탁월함에 집착하되, 모든 Task에 AI 도구를 활용하여 Over Engineering을 없애고, 10%는 무조건 학습시간에 투자하라고 분명히 선언한다.
참고: 영문 게시물
notion image
 
(요약 내용)
무엇이 바뀌는가 . 우리가 일하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AI가 기본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 AI는 우리 제품의 모든 곳에 있을 것입니다. . 우리의 시스템 전체가 AI와 더 잘 작동하도록 발전할 것입니다. 우리는 AI 도구, 인프라, 지침에 투자할 것입니다. . 생산성 향상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더 열심히 일하는 것이 아니라, AI와 함께 더 스마트하게 일하는 것입니다.
무엇이 바뀌지 않는가
. 기술적 탁월성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AI가 기준을 낮추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기준을 높입니다.
요청사항 . 모든 작업에 AI부터 시작하세요.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상관없습니다. . 시간의 10%를 배우는 데 투자하세요. 도구를 가지고 놀고, 실험하고, 실수를 하세요. . 여러분이 배우는 것을 공유하세요. 프롬프트, 예시, 실수, 작은 승리를 공유하세요. . 과도한 엔지니어링을 피하세요. 타사 도구가 이미 존재한다면, 그것을 사용하세요. . (신중하게) 구축하고 실험하세요. 듀오링고 코드나 지적재산으로, ChatGPT/Cursor 등을 사용할때 데이터를 위험하게 사용하지 마세요.
우리가 여러분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 우리는 우리의 전략을 안내하고 지원할 엔지니어링 리더로 구성된 AI 자문위원회를 출범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다음을 제공할 것입니다. . AI 도구 및 모범 사례에 대한 지침 . 모델 사용에 대한 권장 사항 . 채널의 피드백 및 답변
우리는 아직 정답을 모르지만 괜찮습니다. 모두에게 새로운 일입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배우고, 성장하고, 길을 이끌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의 “AI Momentum” 만들기 가이드

AI PM 셀럽 TOP 7 에서도 소개했던, Claire Vo가 링크그인에 공유한 게시물이다. 마침 Spotify의 AI First 선언이 화제가 되었던 때인데, 해당 게시물을 보고 “그래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지?”라는 주변 분들이 많아 직접 몇가지 가이드를 작성했다고 한다. Product/Tech 직군만을 위한 가이드는 아니지만, 스타트업이나 Tech 조직에 세부적인 지침으로 참고할 만한 내용이 많아보여 소개한다.
If you’ve forwarded the Shopify AI memo to your team but don’t know what… | Claire Vo | 47 comments
If you’ve forwarded the Shopify AI memo to your team but don’t know what to do next, here are a few specific things you can do to generate ai momentum in an org that’s not there yet: 🤑 simplify buying: get infosec and finance to give you a budget and fast tracked approval process today 💬 create your building-w-ai channel for sharing wins, fails, and asking for new tools ✨ create slack emojis for devin, cursor, Claude, ChatGPT and slam them anytime a workstream uses or needs AI 🧠 tap a single engineer to be in charge of experimentation, adoption, and driving usage of tools ☎️ connect your team to a peer company that’s a little ahead of them on AI for inspo and info 🙋‍♀️ ask “where is the prototype?” when given docs or figmas 📄 add “prompt”, “prototype link”, “run link” sections to your document templates 🎩 run an exec training and half day hackathon 🥳 run quarterly all company hackathons ⚡️ every time a doc is added to a specific folder, zap a AI generated summary to a slack channel 🤖 headcount request form now has “this role has already been automated partially by…” section 💻 yes allow coding copilots during eng interviews but a rubric for evaluating them well 🪜 AI fluency in career ladders and levels 🧹 identify toil, solve it with AI. Don’t threaten the fun parts of jobs, take away the painful grind 🤸🏻 hire junior folks that don’t know better | 47 comments on LinkedIn
If you’ve forwarded the Shopify AI memo to your team but don’t know what… | Claire Vo | 47 comments
 
프로세스 및 리소스 지원 🤑 구매 프로세스 단순화하기: 정보보안팀과 재무팀에 예산과 신속한 승인 절차를 마련. 🧠 전담 엔지니어 지정: 한 명의 엔지니어를 실험, 도입, 도구 사용 확산의 책임자로 지정 ☎️ 다른 조직에서 배우기: AI 도입에 앞서 있는 기업과 연결해 영감을 받고 정보를 교류 🎩 경영진 대상 교육 및 Half-day 해커톤 진행: 리더 대상 AI 도구를 경험 기회 제공 🥳 분기별 전사 해커톤 개최: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AI 중심 해커톤을 주기적 개최
 
업무 가이드 📄 문서 템플릿에 다음 섹션 추가하기: “프롬프트”, “프로토타입 링크”, “실행 링크”를 포함 🙋‍♀️ “프로토타입은 어디에 있나요?”라고 물어보기: 문서나 피그마 디자인이 나오면 항상 프로토타입 존재 여부를 질문 🧹 반복적인 작업 식별 및 AI로 해결: 재미있는 일은 건드리지 말고, 고통스럽고 반복적인 업무부터 AI로 자동화
 
HR 가이드 🤖 채용 요청서에 자동화 정보 추가: “이 역할은 이미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바 있음”이라는 항목을 포함 🪜 커리어 단계 및 직급 정의에 AI 이해도 포함: AI 활용 역량이 커리어 성장의 기준이 되도록 💻 엔지니어링 인터뷰에 코딩 코파일럿 허용: 단, 이를 잘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도 마련 🤸🏻 주니어 인재 채용: 기존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신입 인재를 채용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보세요.
 
커뮤니케이션 ✨ AI 도구 전용 이모지 만들기: Cursor, Claude, ChatGPT 같은 도구의 Slack 이모지를 만들고 해당 도구를 사용하는 워크스트림에 적극적으로 활용 💬 AI 구축 채널 만들기: 성공 사례, 실패 사례를 공유하고 새 도구를 요청할 수 있는 전용 Slack 채널 생성 ⚡️ 문서 자동 요약: 특정 폴더에 문서가 추가될 때마다, AI가 생성한 요약을 Slack 채널로 자동 전송
 

👩‍💼Product Manager들을 위한 AI Initiative 가이드

그럼 Product Manager들은 어떤 변화를 시작해야할까? 우선 LLM 툴을 활용해 핵심 업무(e.g. 원페이저 작성)의 생산성과 품질 수준을 높여야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반복업무(미팅, 문서화 등)를 효과적으로 줄여나가야한다. 나아가, 고객의 문제와 기회를 발견하는데 정성적/정량적인 분석을 고도화해야한다. 아래는 Product Manager들에게 AI 변화를 위한 업무 지침을 작성한 내용의 일부다. 상세한 도구 활용, 업무 사례는 다른 게시물로 소개할 예정이다.
 
Product Manager를 위한 AI 업무 가이드
AI Initiative의 목적
Product Manager로서 성장을 가속화하고, 성과에 더 집중하기 위해 우리는 AI-Powered PM이 되어야 합니다.
  • 회사/제품/개인의 성장
    • 배우고 연습하고 적용하며 회사/제품/개인이 성장해야합니다.
    • 회사는 생산성을 높여야하며, 제품은 더나은 AI 고객 경험을 만들어야하고, 개인은 AI를 활용하여 더 높은 역량을 발휘해야합니다.
  • 업무 생산성 향상과 고객 성과 집중
    • AI를 활용하여 반복작업/Paperwork/조사에 드는 시간을 줄입니다.
    • 결과적으로 우리는 더 Discovery와 성과에 집중을 합니다. 고객을 더 만나고, 정량/정성 데이터를 확보하며, 임팩트 있는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집중합니다.
 
업무 적용 가이드
  • 기획문서, 리서치 등 문서 작성시 AI 초안/리뷰 등을 꾸준히 시도하고 기록합니다.
    • AI로 금방 찾을수 있는 정보, AI가 구조화한 문서품질에 못미친다면 비효율적으로 업무를 한겁니다.
    • AI를 활용해 내가 파악하지 못한 “Blind Spot”을 잘 찾아내어 보완할 수 있어야합니다.
  • 리서치, 분석, 자료정리, 회의 등 Time-Intensive한&반복적인 업무에 “AI로 대체 혹은 활용 가능한지” 먼저 테스트해봅니다.
    • AI로 완전히 대체한다는 생각보다는 어떻게 도움을 받을지, 어떤 Task를 나눠줄지가 합리적인 접근방법입니다.
  • 직접 많이 해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 물론, 다른 사람 / 외부 자료도 참고하면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프롬프트 작성에 자연스럽게 익숙해지면, 업무 품질과 속도가 매우 향상된다고 합니다.
보안 규칙
  • 회사계정으로만 활용합니다.
  • 소스코드, 정책, 영업기밀 등 보안에 예민한 문서는 활용하지 않습니다.
  • 고객/직원/파트너 등의 개인정보는 제외하고 활용합니다.
  • 결과물은 노션에 보관하고 > LLM 채팅내역은 가능하면 삭제합니다.
 
*참고: 내부 규정(링크)
 
프롬프트 Practice 모음 . 매주 최소 1개이상 Practice를 시도하고 공유합니다.
Template(실제로는 Notion Table로 제작되었다)
notion image
 
Refernece
. 실전 후기 . 프롬프툴&활용 레퍼런스 . 읽어볼만한 글

 

4가지 도전과제

Tal Raviv는 링크드인 게시물에 127명의 프로덕트 임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올렸다. 그들은 AI 도입에 대해, 아래 4가지의 도전과제를 답벼했다고 한다. 국내 Product 조직이라고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조직과 리더가 아래 4가지 도전과제가 AX 전환의 성공 열쇠가 아닐까.
  • 체계적인 도입의 어려움
  • AI 친화적인 문화형성
  • 인력 통제&생산성 증가
  • 저항과 두려움의 관리
참고: 번역글
저는 작은 AI 워크숍을 계획했는데, 어쩌다 127명의 프로덕트 임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되었습니다. 이를 Shopify CEO의 AI 메모와 비교해 보세요.
(어떻게 이렇게 되었냐면요: 팀장들을 위한 AI 워크숍 신청을 받았을 때, 이사, 부사장, 프로덕트 총괄들의 응답이 쇄도했습니다. 그들의 신청서가 우연한 스냅샷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참고: 이 모든 인용문은 실제 발언이며, 이 응답들은 모두 토비 뤼트케의 AI 메모가 유출되기 전에 도착했습니다.
1️⃣ 체계적인 도입 어려움 대부분의 리더들은 AI를 도입할지 여부에 대해 걱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어떻게 체계적으로 구현할지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우리 회사는 AI 도구를 구매했지만... 저희 팀은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그들이 구조화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 "저는 이미 AI를 사용하여 제 업무의 일부를 자동화했지만, 제 효율성을 최적화하고 팀에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조화하지 못했습니다." ⮑ "우리 PM들이 일상 업무에서 AI를 더 잘 활용하도록 도와주세요. 우리는 많은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어떻게 일하는 방식을 바꿔야 할지 갈피를 못 잡고 있습니다."
2️⃣ AI 친화적 문화형성 가장 큰 과제는 도구가 아니라 AI 친화적인 팀 문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 "리더들이 지속적으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발견하는 AI 혁신 문화를 조성하세요." ⮑ "저는 PM들이 전략을 주도하면서도 AI를 연구 파트너, 아이디어 검토 대상, 초안 작성 도구 등으로 더 자신감 있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습니다." ⮑ "저는 여전히 AI 혁명 전체에 대해 망설이고 있으며, 제 자신, 제 팀, 그리고 제 조직에서 그러한 사고방식을 바꾸고 싶습니다."
3️⃣ 인력 증원없는 확장 노하우 리더들은 동일한 자원으로 더 많은 것을 하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 "인력 증원 없이 리더로서 확장하고 더 많은 영향력을 확보하는 방법 배우기." ⮑ "추가 자원 없이 빠르게 확장해야 합니다." ⮑ "우리가 사업과 팀을 구축해 나가는 동안 AI 기반의 표준을 확립하여, 효율성을 유지하고 낭비를 줄이고 싶습니다."
4️⃣ 저항과 두려움 관리 많은 팀들이 회의론과 우려에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 "저는 팀원들과 AI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서 뒤처지거나 곧 일자리를 잃을까 봐 두려워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 왔습니다." ⮑ "제가 지속적으로 겪는 한 가지 문제는 고위 경영진의 저항/방해입니다." ⮑ "AI가 PM으로서의 그들의 기술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강화하는 '힘의 곱셈기'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팀에 보여주세요."
Share article
세미나/워크샵/컨설팅 문의사항은 이메일을 남겨주세요.

ProAgent AI